섹션 바로가기 열기 섹션 바로가기 열기

사랑방뉴스룸

MY 알림

신규 알림
뉴시스

[초점]ASF 없애려면 야생멧돼지 해결 필수, 가능한가?

입력 2020.10.19. 17:14
이호진 기자구독
야생멧돼지 개체수 줄이는 현행 방식, 단기간 성과 어려워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

[의정부=뉴시스] 이호진 기자 = 지난해 첫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 후 2년 연속 ASF 확진 농가가 나오면서 매개체인 야생멧돼지에 의한 ASF 토착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19일 환경부와 경기도 등 ASF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9월16일 경기 파주시 연다산동에서 국내에서는 최초로 ASF가 발생한 뒤 2~3주간 총 14개 농장에서 ASF 확진 판정이 나왔다.

이후 발생지역 사육 돼지를 전량 수매하거나 살처분하는 강력한 대응이 이뤄졌고, 피해 농장들은 ASF 발생 후 1년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 재입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그동안 ASF 재발생을 막기 위해 매개체로 알려진 야생멧돼지를 차단하는데 주력해왔다.발생지역을 중심으로 한 1차 울타리와 2차 울타리를 설치한데 이어 야생멧돼지가 남부지방으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광역울타리도 설치했다.

그러나 이 같은 노력에도 지난 9, 10일 강원도 화천군에서 2건의 ASF 확진 판정이 나오면서 ASF가 국내 풍토병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우려에는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한 ASF 감염 야생멧돼지 증가가 배경으로 작용했다.민통선 지역을 중심으로 ASF 감염 야생멧돼지가 확산되는 국내 여건상 관리지역 내 야생멧돼지를 모두 제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도 불가능에 가깝다.

딱히 이런 특수성이 아니어도 ASF 발생 국가 대부분이 야생멧돼지에 의한 지속적인 감염 때문에 ASF 종식에 적게는 수년에서 길게는 수십년이 걸렸다.

결국 남은 방법은 광역울타리 내의 야생멧돼지 서식 밀도를 줄여 ASF 감염 개체와의 접촉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다. 국지적인 성공 사례가 파주시다.

파주지역은 연초에 ASF 감염 야생멧돼지가 크게 늘었다가 적극적인 포획과 차단으로 개체수가 줄면서 지난 5월을 끝으로 ASF 감염 야생멧돼지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다만 국내 모든 지역에서 성과를 얻으려면 소요되는 기간이 상당한만큼 추가 발병 가능성이 크고 이 기간 ASF가 풍토병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도 있다.

더욱이 한 번 피해가 발생하면 지역 내 양돈산업이 초토화되는 ASF의 특성상 관리지역이자 경기북부 최대 양돈지역인 포천은 방역에 대한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

경기도 관계자는 “현재 야생멧돼지 폐사체 신고에 대한 포상금제를 운영하면서 적극적으로 ASF 확산 요소를 지워나가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데 현재로서는 개체 밀도를 낮춰서 감염 가능성을 줄이는게 최선인 것 같다”며 “다만 관리지역 외 지역에서 ASF가 발생하는 것에 대비해 다른 시·도에서도 관리지역 수준의 농가 방역시설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sak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300

    랭킹뉴스더보기

    전체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