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바로가기 열기 섹션 바로가기 열기

사랑방뉴스룸

MY 알림

신규 알림
남구청

광주시민회관 건물 새단장 청춘들 찾는 명소 ‘우뚝’

입력 2020.10.23. 15:16
청춘 핫플레이스 떠오른 '옛 광주시민회관'
창업청년들 꿈 키우고, 시민들은 안락한 휴식공간으로 이용

말 그대로 재발견의 매력이요 반전이다. 광주의 재발견이요 남구의 재발견이다.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매우 의미있는 공간 옛 광주시민회관이 방치되고 시민들에게 잊혀져가다 어느 순간 ‘짠~’ 하고 나타나 인기를 끄는 반전.

누군가는 여기서 ‘로보트 태권브이’를 처음 본 영화관으로 기억할 것이고, 누구는 평생 반려자와 식을 올린 결혼식장으로, 어떤 이는 한껏 뽐내고 노래 한 자락 뽑던 공연장으로 기억할 특별한 공간이 바로 시민회관 이었으나 잊혀졌다가 어느 날 갑자기 다시 돌아와 존재감을 뽐내고 있는 것. 그냥 돌아온 정도가 아니라 광주의 새로운 문화명소, 청년들의 꿈터로 부활했다.

지난 5월 말 재개관한 광주시민회관 포레스트 971이 화제다. 시민회관이 무려 50년 만에 그동안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등장해 사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유행하는 레트로감성으로 무장한 시민회관은 이름도 생소한 ‘포레스트 971’ 이라는 타이틀까지 달았다. 시민회관은 재개관을 위한 리모델링을 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게 청년들이 꿈을 펼치는 창업공간으로서의 기능을 넣자는 것이었다. 포레스트 971이라는 이름의 출발도 그와 연관이 있다.

올해 선정돼 이곳에서 활동하게 된 청년 창업자들이 공동브랜드인 포레스트(Forest) 971을 자체 개발했다. 포레스트 971은 ‘숲’이라는 의미의 ‘Frest’와 사람들에게 휴식을 전달하는 뜻의 ‘Forerest’, 그리고 시민회관의 개관년도인 1971에서 ‘971’을 따 와 지은 이름이다.

재개관한 시민회관은 지상 3층 건물. 1층에는 카페와 베이커리가 자리하고 있다. 커피는 ‘구동커피로스터리’, 베이커리는 광산구 하남에 1호점이 있는 ‘티라미뚜’ 2호점이 입점했다. 과거 공연장 1층 로비였던 커피숍 공간은 화려한 샹들리에로 내부장식을 했고 밖으로는 3층까지 통으로 뚫린 높은 공간으로 이어진다.

이곳이 바로 과거 공연시설이었으나 외벽을 헐어내고 광주공원의 숲이 보이도록 만든 야외 공연장이다. 커피숍을 찾는 이들에게 자연스럽게 개방한 이 공간이 매우 인기있는 장소다. 시멘트 건축물의 투박한 감성과 광주공원의 오래된 숲, 감각적인 인테리어들이 조화를 이룬, 자연과 인공미의 조화미가 레트로감성을 자극한다.

지난 10월 10일부터 4ㅣ일간 이곳에선 광주소셜아트페스티벌(GSAF)이 열려 시민들이 많이 찾기도 했다.

커피숍 옆에는 청년 메이커스 제작품 판매대, 꽃집 등도 자리잡았다. 2층은 청년 크리에이터들이 자신들의 꿈을 펼치는 창업공간이 되었다. 유튜브 크리에이터 등 입주 청년들이 각종 교육과 영화상영, 소규모 전시 등 복합기능을 수행할 공간으로 공동 사용하고, 3층은 청년 창업자들의 공유 사무공간이다.

이곳 시민회관 포레스트 971이 젊은이들에게 인기있는 이유는 이곳에 오면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정서적 안정감을 느

낄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물론 감각적 구성의 커피숍에서 음료와 간식을 먹고, 멋진 사진까지 찍으며 여유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점은 어디나 비슷하지만 다른 곳에선 맛볼 수 없는 강점이 바로 이곳의 위치. 시민회관은 광주에서 첫 번째 공원으로 조성된 광주공원 한 복판에 서 있다. 일제 말 이미 공원이 되었으니 오래된 숲이 있고 주변은 매우 고즈넉하다.

주차장도 넓고 시민회관 외에 현충탑과 4·19기념 시설 등 역사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곳이다. 굳이 덧붙이자면 일제 신사의 흔적도 아직 보존된 곳이기도 하다.

그뿐만이 아니다. 1980년 5·18때는 당시 계엄군에 대항한 시민군이 사용하던 공간이라는 의미도 갖고 있다. 최근 공원입구에 당시 시민군으로 활동하다 계엄군의 총에 스러졌고 영화 ‘김군’의 소재가 되었던 시민군의 ‘김군 흉상’이 세워지기도 했다.

이런 복합적인 매력 때문에 요즘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핫 플레이스가 되었고 추억을 되새기려는 중년세대도 많이 방문

한다. 젊은이들은 부모님의 추억이 서린 곳에서 최신 유행의 음료와 빵을 먹으며 추억을 만들고 어른들은 옛 추억을 소환

하기 위해 찾는 셈이다.

알려져 있다시피 시민회관은 지난 1971년 완공돼 광주의 첫 공공문화복합시설로써 시민들의 문화생활 중심이었으나 1991년 광주문화예술회관이 문을 열고 1992년 광주시립미술관 개관, 1995년 광주비엔날레가 시작되면서 외면받기 시작했다.

더욱이 인근 옛 구동체육관 자리에 2010년 빛고을 시민문화관이 문을 연 뒤 더욱 수요가 없어졌다. 2012년부터 39억원을 들여 리모델링하고 재개관했지만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던 중 2018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프로젝트’ 장소로 활용된 것이 계기가 돼 가치를 재조명받게 되었다.

광주시는 잠재적 가치를 발견한 뒤 곧바로 활용계획을 세웠고 공유재산활용 사회실험 청년창업 지원사업의 하나로 살려내 오늘에 이른 것이다. 이 사업에 따라 선발된 청년들이 5개분야 33명이며 이들이 시민회관 활성화의 한 주체이기도 하다.

광주공원 안 보석같은 문화공간 시민회관 포레스트 971. 이제 남구의 명소를 넘어 광주를 대표할 새로운 감성공간, 청년희망공간으로 자리할 것으로 보인다. 이제 코로나19 대응 단계도 1단계로 접어들었고, 가을도 깊어가고 있다. 주말을 이용해 오랜만에 광주공원과 시민회관을 찾아보자.

글·사진=김옥열(자유기고가)

    0/300

    랭킹뉴스더보기

    전체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