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바로가기 열기 섹션 바로가기 열기

사랑방뉴스룸

MY 알림

신규 알림
무등일보

<사설> 광주학생독립운동 서훈, 역사 평가 새 준거로

입력 2021.03.02. 18:27 수정 2021.03.02. 20:02
조덕진 기자구독
사설 현안이슈에 대한 논평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참여한 독립운동가 28명이 3·1절 제102주년에 정부 서훈을 받았다. ㈔장재성기념사업회(이하 사업회)가 지난해 국가보훈처에 73명에 대한 유공자 서훈을 요청, 이중 28명이 서훈대상자로 최종 확정됐다. 이번 서훈에는 학생독립운동의 발원지인 광주·전남 뿐 아니라 경상도에서 멀리 함경도에 이르기까지 전국 독립운동가들이 망라됐다. 이는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의 민족사적 의의와 전국적 열기의 반증이자 광주학생운동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로 의미가 크다.

사업회는 1일 국가보훈처에 올린 73명 중 강초근씨 등 28명이 건국포장 등 최종 서훈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서훈 내역은 건국포장 9명, 대통령 표창 7명, 애국장 3명, 애족장 9명 등이다. 이중 14명은 함경남도와 함경북도 등 북한 출신이고 진주고보 출신 정갑생씨는 경남 진주생이다. 광주·전남은 광주농고 5명, 광주고보 2명, 전남사범 2명, 목포상고 3명 등 모두 13명이다.

이분들은 그동안 기록이 없거나 자료 미비 등으로 해방 후 지금껏 독립운동가로 인정받지 못하던 분들이다. 사업회 운영위원장을 맞고 있는 황광우 작가의 수년에 걸친 사료조사 등 발굴 작업이 보훈처 심사와 실사를 통과하며 가능했다. 사업회는 잊혀진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추가 연구와 발굴작업을 계속할 예정이다.

반면 이번 서훈을 계기로 국가보훈처의 서훈 방식이 전면 개편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서훈이 사실상 유족에게 맡겨져 있어 명백한 자료가 있어도 형편상 신청을 못하면 서훈이 안되는 구조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의 경우도 당시 일제 감옥에 수감된 광주 학생만 80명이다. 정부 기록이 있는데도 보훈처는 지금껏 40여명에게만 서훈을 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서훈은 국가차원의 독립운동가 발굴 노력이 없는 상황에서 지역의 뜻있는 인사들이 관련 인물들에 대한 발굴작업을 통해 역사적 재평가와 역사 바로세우기에 나선 결과물이다.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독립운동가들을 발굴하고 관련 연구 등을 지원하는 계기로 삼아야한다. 이번 서훈이 역사발굴과 평가에 새로운 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0/300

    랭킹뉴스더보기

    전체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