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바로가기 열기 섹션 바로가기 열기

사랑방뉴스룸

MY 알림

신규 알림
무등일보

함평 발전 위해 ´군공항 이슈´ 최대한 활용?

입력 2023.11.21. 16:34 수정 2023.11.21. 17:45
선정태 기자구독
■‘군공항 이전’ 양다리 걸친 이상익 군수의 속내는
주변 지자체 발전 불구 함평군만 인구 소멸 위기
‘전남도의 지원 최대한 얻기 위한 노림수’ 분석
광주에는 군공항 이전통한 지역발전 지원 요구
이상익 함평군수가 21일 함평문화체육센터에서 진행되는 도민과의 대화에 참석하는 김영록 전남지사에게 인사하고 있다.

이상익 함평군수가 당초 연말로 예정된 '광주 군공항 유치 군민 찬반 여론조사'에 대해 한발 물러선 입장을 보였다. 김영록 전남지사가 강력히 반대하고 있는 가운데 군민 갈등까지 유발하면서 무리하게 추진하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다만, "앞으로 광주시·전남도와 같이 협의하겠다"고 밝혀 여론조사 실시에 대한 여지를 남겼다. 이 군수의 이같은 발언은 '군공항 이전 문제'를 낙후된 지역발전을 위한 카드로 적극 활용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군수는 21일 함평문화체육센터에서 진행된 도민과의 대화에서 "함평군은 인구 3만명이 붕괴되고 지역 소멸 위기가 심각해진 상황이다. 나주시는 혁신도시가, 영광군은 원자력이, 무안군은 도청과 신도시 등 인구를 유지할 여건이되지만 함평은 그런 동력이 없다"며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기피시설인줄 알지만 광주군공항을 유치해서라도 지역 소멸을 억제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 군수는 또 김영록 전남지사에 "123만평 빛그린 국가산단 중 우리 함평군이 67만 평, 광주시가 56만 평인데 광주시는 빛그린 산단에 인접한 미래 국가 산단 100만 평을 또 유치했다"며 "함평 나산에 빛그린 산단과 연계해 추가 100만 평 국가산단 좀 유치하셔서 함평 인구가 3만이 되고, 인구가 5만이 되고 8만이 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김 지사는 "함평군은 전남의 중간에 위치해 발전 여건이 좋다. 이때문에 전남도가 1조8천억원의 발전 비전을 발표했다. 사실상 종합프로젝트를 제시한 것은 함평군이 유일하다"며 "함평군에 군공항만 오는 것은 실익이 없다. 군공항 특별법을 통해서도 인센티브를 받을 수 없다. 민간공항이 함께 와야 철도 등 SOC가 함께 올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또 "관련 법에는 군공항 이전 예비후보지를 정할 때 관계 자치단체장과 협의토록 명시돼 있다"며 "이는 기초단체장은 물론 광역단체장도 포함돼 있어, 전남도가 중요한 협의권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전남도와 협의없이 기초단체가 단독으로 추진할 수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 지사은 이날 지난 9월 1조7천억원의 함평 미래 비전 전략보다 다소 늘어난 1조8천억원 전략을 발표하며, 이 군수에게 함평군으로 광주군공항 이전은 불가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자리인 셈이다.

이 군수는 여론조사는 물론 군공항 이전이 어렵다는 것을 알면서도 "여론조사 실시 여부를 전남도는 물론 광주시와도 협의하겠다"며 여전히 광주시와의 연계도 빼지 않았다 이 군수의 이같은 발언은 광주군공항 이전을 빌미로 전남도에 최대한 지원받으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한편으로는 군공항 이전을 바라는 광주시에는 더 많은 인센티브와 지역 발전 지원을 요구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선정태기자 wordflow@mdilbo.com

    0/300

    랭킹뉴스더보기

    전체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