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부동산 대책 한달···광주 아파트 시장 반응 '미지근'
입력 2023.02.03. 17:05 수정 2023.02.03. 17:21동구 제외한 4개구는 하락폭 줄어
매매보다 더 빠지는 전세가격 변수
고금리에 매수자 심리 위축 여전

1·3 부동산 대책이 나온지 한 달이 지났지만, 광주 아파트 시장 반응은 미지근하다.
일부 아파트는 급매물로 거래가 이뤄졌지만, 고금리와 경기 위축, 전셋값 하락 등의 영향으로 관망하는 분위기는 여전하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2023년 1월 5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 주 광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0.27% 하락했다.
1·3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아파트 가격 하락폭은 다소 둔화되고 있는 모양새지만 아직 매수자들의 관망하는 흐름은 바뀌지 않았다.
지난해 12월까지만 해도 매주 0.45%씩 떨어지던 광주 아파트 가격은 올해 규제 해제 등의 영향으로 서서히 하락폭이 얕아지기 시작했다. 1월 2주에는 -0.36%를 기록하더니, 1월 3~4주는 -0.29%를 기록하는 등 다소 안정감을 찾아가고 있다.
지역별로도 비슷한 흐름이다. 한달새 동구만 -0.35%에서 -0.59%로 하락폭이 커졌을 뿐, 서구는 -0.35%에서 -0.28%로, 북구는 -0.51%에서 -0.15%로, 광산은 -0.61%에서 -0.31%로, 남구는 -0.35%에서 -0.28%로 하락폭이 줄었다.

그러나 전세가격이 크게 빠지고 있다. 급격한 전세가격 하락이 매매가격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1월 5주 광주 전세가격은 0.29% 빠졌다. 전세시장 움직임이 둔화된 상황에서 수개월째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더 가파른 하락폭을 그리고 있어 매수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심리적 마지노선인 전세가격이 빠지면 아파트 매수자들은 매매가격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대부분 전세 대출의 금리가 매매보다 높은 만큼 당분간 전세가격 하락은 지속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최현웅 사랑방부동산팀장은 "규제가 다소 완화됐지만 고금리가 여전하고, 앞으로의 주택 가격이 반등할지, 계속 떨어질지 확실하지 않아 관망 중인 분들이 여전히 많은 것 같다"며 "부양책을 기대하는 분들도 있지만, 추가적인 부양책은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고금리가 근본적인 원인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지나친 규제 완화는 나중에 금리가 안정이 됐을 때 시장 과열을 일으킬 수도 있는 뇌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1월 5주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42%) 대비 하락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48%→-0.44%), 서울(-0.31%→-0.25%) 및 지방(-0.35%→-0.32%)이 모두 하락폭이 축소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00%), 경기(-0.55%), 대구(-0.46%), 부산(-0.46%), 대전(-0.41%), 인천(-0.39%), 경남(-0.31%), 전남(-0.29%), 울산(-0.29%)등이 하락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